방위각을 계산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사람이 직접 방위각 계산법을 알고 있는 상태에서 계산하면 되겠지만 스마트폰 어플에서 쉽게 방위각 계산이 된 상태에서 단순히 보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편리한 부분들도 있습니다.
아래 설명되어 있는 내용은 방위각 측정 어플을 사용해서 쉽게 방위각을 계산하거나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서 설명하였습니다. 읽어보고 따라해보면 될 것 같네요.
나침반 지도 어플(compass map)
지도 위에 나침반을 띄워서 현재 위치 기준 방위각을 실시간으로 계산해주는 어플입니다. 토지 면적 계산이나 지도 확대/축소, 나침반 테마 변경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직관적인 ui와 함께 지도와 나침반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는 점이 장점입니다.
다만, 나침반 보정 기능이 없어서 정확도에 한계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다른 나침반 지도 어플이랑 함께 병행해서 사용하는것을 추천합니다.
나침반 지도 어플을 보다 정확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위치 권한 및 gps 활성화 기능을 켜야 됩니다. 그래야만 보다 정확한 방위각 측정을 할 수 있습니다. 어플에서 위치 권한을 허용하면 해결 됩니다. 또한 실내보다는 실외에서 측정하는 것이 보다 정확도가 높게 나타납니다.
기준점 설정을 해야되는데요 지도에서 기준점(현재 위치)을 확인하거나 직접 지정해야만 사용 가능합니다. 목적지를 지도에서 선택하거나 핀을 드래그해서 위치 설정도 가능합니다.
기준점과 목적지 사이의 직선 방향에 따라서 방위각이 자동 계산되어 표시되기도 하는데요, 방위각은 – 0°가 북쪽, 90°가 동쪽, 180°가 남쪽, 270°가 서쪽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기준점을 잘 확인해서 사용해야 될 것입니다.
나침반 지도 어플에서 방위각 숫자와 방향 화살표가 함께 나타나게 되는데요 이렇게 방위각 숫자와 방향 화살표가 보여야만 보다 정확한 계산을 할 수 있습니다.
정확도가 떨어지거나 방위각 측정 값이 틀린 경우에는 스마트폰을 8자 모양으로 흔들어서 나침반 센서를 보정하면 더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습니다.

방위각 계산하는 방법
방위각은 기준점에서 목표지점까지의 방향을 북쪽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측정한 각도입니다. 기본 개념부터 이해할 필요가 있는데요 방위각은 0°부터 360°까지의 각도로 표현된 것입니다. 북쪽: 0° 또는 360°, 동쪽: 90°, 남쪽: 180°, 서쪽: 270° 이렇게 표시됩니다.
방위각 계산을 수학적으로 한 번 표현해 보겠습니다. 수학적 계산 방법은 좌표 기반으로 해야 되는데요 기준점의 좌표(x_1, y_1), 목표점의 좌표(x_2, y_2) 이렇게 기준을 정합니다.
그리고 계산 공식을 적용해서 만들면 됩니다.
\theta = \arctan2(x_2 – x_1, y_2 – y_1)
이때 arctan2는 두 점 사이의 방향을 계산하는 함수입니다. 결과는 라디안(radian)으로 나오게 되고 도(degree)로 변환해야만 합니다.
\text{방위각} = (\theta \times \frac{180}{\pi} + 360) \mod 360
예를 들어 한 번 설명해보겠습니다.
기준점은 (0,0)이며 목표점은 (1,1)이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 그럼 계산 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theta = \arctan2(1, 1) = 45°
방위각은 45°, 즉 북동쪽 방향입니다.
이렇게 수학적인 방법으로 방위각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방위각 각도기나 종이로 계산하기
지도에서 각도기를 사용하면 되는데요 북쪽을 기준으로 각도기를 놓고 목표 지점까지의 각도를 측정하면 됩니다.
그리고 종이 지도를 활용하는 방법도 있는데요 기준점에서 목표점까지 선을 긋고, 북쪽 기준으로 각도 측정을 하면 됩니다.